-
WINDOWS에서 ESP-IDF 사용하기 VSCODEDEVICE 2023. 1. 14. 01:07
Visual Studio Code에서 설치할때는 패키지를 사용한다.
이 때, 주의할 점이 있다.
1.ESP_IDF 사이트에서 직접 설치하지 않아도 된다.
VSCODE 패키지에서 알아서 설치하게 된다. (ESP32S3사용시 V4.4부터 설치할것 V4.3은 실행시 에러남)
2.파이썬 버젼은 3.8이상을 설치해야 한다.
이 부분때문에 환경충돌로 제일 문제가 많이 생겼다.
1) 기존 파이썬은 다 삭제하고 환경변수와 해당 폴더를 다 삭제한다.
2) 커맨드창에 python이라고 치면 윈도우의 스토어가 뜬다. 이걸 설치하자
3. 예제 또는 새로운 프로젝트 생성 시 라이브러리가 없다고 문제제기를 한다.
.vscode에 있는 c_cpp_properties.json은 아래와 같이 수정한다.
컴파일 목록에는 자신의 컴파일러 경로를 가리킨다.
{ "configurations": [ { "name": "ESP-IDF", "compilerPath": "C:\\Users\\xxx\\.espressif\\tools\\xtensa-esp32s3-elf\\esp-2021r2-patch5-8.4.0\\xtensa-esp32s3-elf\\bin\\xtensa-esp32s3-elf-gcc.exe "cStandard": "c11", "cppStandard": "c++17", "includePath": [ "${config:idf.espIdfPath}/components/**", "${config:idf.espIdfPathWin}/components/**", "${workspaceFolder}/**" ], "browse": { "path": [ "${config:idf.espIdfPath}/components", "${config:idf.espIdfPathWin}/components", "${workspaceFolder}" ], "limitSymbolsToIncludedHeaders": false } } ], "version": 4 }
4. IDF_PATH와 Path에 환경변수 추가를 하자
https://docs.espressif.com/projects/esp-idf/en/v3.3.1/get-started-cmake/add-idf_path-to-profile.html
Add IDF_PATH & idf.py PATH to User Profile (CMake) — ESP-IDF Programming Guide v3.3.1 documentation
To use the CMake-based build system and the idf.py tool, two modifications need to be made to system environment variables: To preserve setting of these variables between system restarts, add them to the user profile by following the instructions below. No
docs.espressif.com
5. sdkconfig에서 ESP32 용량을 수정한다.
CONFIG_ESPTOOLPY_FLASHSIZE_8MB=y # CONFIG_ESPTOOLPY_FLASHSIZE_16MB is not set CONFIG_ESPTOOLPY_FLASHSIZE="8MB"
6. 최신 SPI호환성 문제로 재부팅이 반복될 수 있으니 아래부분을 활성화한다.
CONFIG_SPI_FLASH_USE_LEGACY_IMPL=y
'DEVIC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TM32 TIMER PWM NEGATIVE 동작 안할때 (0) 2023.02.24 STM32F0에서 IWDG가 작동하지 않을때 (0) 2023.01.16 Nanopc-T3 개발 세팅 (0) 2022.09.28 라즈베리파이 win32Diskimager를 이용해 덮어쓰기 (0) 2021.01.08 CH376 USB MSC 다루는 방법 (0) 2021.01.02